본문 바로가기

다 커리어 네

Product Owner (프로덕트 오너) 첫 걸음마 👶🏻

반응형

💡 PO란 무엇인가? PO에 대해 이해하기 

1) Product Owner의 “Product”란 무엇인가

  • [IT 업계 기준] 특정 시스템 도메인을 기준으로 구분
  •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하나의 개발팀” 에서 커버하는 영역
  • 보통 소규모 스타트업에는 하나의 프로덕트 팀이 다루는 업무 범위가 크고, 회사 규모가 커질수록 프로덕트가 세분화 됨
  • 신규 서비스 출시 시, 기존 도메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신규 프로덕트로 팀을 세팅하기도 함
    • 이때는 그 프로덕트 팀에서 전 도메인의 업무를 다 직접 진행

2) PO의 업무 범위

  • 제품이 가야 할 방향/로드맵/비전 설정 & 합의
  • 제품의 로드맵 하에서, 필요한 initiative 도출 & 합의
  • 제품을 개발하는 팀(Maker)이 해야 할 우선순위를 결정 & 합의
    • 효과 (Impact), 중요도, 타이밍, 투입 리소스 등 고려
  •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구체적인 과제 진행 & Maker들과 제품에 반영
    • 정해진 과제에 대한 세부 마일스톤 / 플래닝
    • 업무 사이클 내 해결해야 하는 이슈/스토리 구체화 (이로 인한 과제 구체화)
    • 해당 과제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핵심 지표 설정
  • 제품에 반영된 기능/서비스 분석 (회고)
    • 우리가 원했던 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목표는 달성했는지?
    • 그렇지 못했다면 원인은? 새로운 이슈는?

3) PO에게 요구되는 역량 / 스킬 셋

  • 전략적 사고와 디테일 (큰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능력)
    • 회사 / 사용자 / 투자자 등의 여러 관점에 대해 이해하고 큰 숲을 볼 수 있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
    • 또한, 큰 방향성을 추진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디테일을 이해하고 현실 가능한 방안을 택할 수 있어야 함
  • 커뮤니케이션 & 협업
    • 프로덕트의 비전/로드맵/우선순위 등을 프로덕트를 같이 만들어가는 메이커뿐 아니라 다른 팀이나 임원 등 다른 이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어야 하고, 리드하고 동기 부여를 시킬 수 있어야 함
  • 문제 정의 & 해결 능력:
    • 맡은 프로덕트와 고객의 애매모호한 니즈를 파악하고, 문제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적합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반복해서 실험할 수 있어야 함
  • 유저 이해
    • 최종 소비자와 공감, 경청하고, 같이 만들어가며, 이미 존재하거나 새로운 pain point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함
  • 기술에 대한 이해 / 친숙함 (Technical Comfort)
    • 내가 생각하는 프로덕트의 기능 / 개선 포인트를, 개발자들한테 방향을 제시하고, 같이 논의할 수 있어야 함
    • 개발을 공부할 필요는 없지만, 개발 용어/개발자의 관점/사고방식을 빠르게 습득하는 능력은 필요
  • 데이터에 친숙
    • 비즈니스적 / 재무적 목표를 이해하고, 프로덕트의 적절한 KPI를 잡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함
    •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 및 해석해서 현재의 프로덕트의 이슈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함
    • [특히 스타트업이라면] SQL로 직접 쿼리를 다를 수 있다면 금상첨화..
  • 유저 이해
    • 최종 소비자와 공감, 경청하고, 같이 만들어가며, 이미 존재하거나 새로운 pain point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함
  • 기술에 대한 이해 / 친숙함 (Technical Comfort)
    • 내가 생각하는 프로덕트의 기능 / 개선 포인트를, 개발자들한테 방향을 제시하고, 같이 논의할 수 있어야 함
    • 개발을 공부할 필요는 없지만, 개발 용어/개발자의 관점/사고 방식을 빠르게 습득하는 능력은 필요
  • 데이터에 친숙
    • 비즈니스적 / 재무적 목표를 이해하고, 프로덕트의 적절한 KPI를 잡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함
    •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 및 해석해서 현재의 프로덕트의 이슈 및 개선 방향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함
    • [특히 스타트업이라면] SQL로 직접 쿼리를 다를 수 있다면 금상첨화..

 

💡 프로덕트 단계별 PO의 역할 (내용 정리)

 

1) 프로덕트 단계별 필요한 업무 및 그에 따른 PO 유형

 

The Growing Specialization of Product Management — Reforge

Design, Engineering, and Marketing have specialities, but Product has not yet defined theirs. We talk about problems that arise when we assume all Product Managers are created equal, different types of product work, Product Management specialities (Core, G

www.reforge.com

 

2) 프로덕트 구축 단계에서 PO가 일하는 방법

  • 목표 설정 시 고려사항
    • Overall Goal 세팅
      • 우리가 해결하려는 문제가 무엇인가?
      • 우리는 이 문제를 “왜” 해결하고 싶은가?
    • 시장 리서치를 통한 현재 업계 현황 파악
      • 어떤 비즈니스 모델이 존재하는가? 각 BM별 장단점은?
      • 현존하는 서비스가 커버하지 못하는 고객 니즈 (수요)가 존재하는가?
      • 현존하는 서비스가 커버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일까? (시장 규모가 너무 적어서? 기술적인 어려움? etc.)
    • 우리의 역량 파악
      • 우리의 기술/영업/브랜드 역량은 얼마나 되나?
      • 우리에게 주어진 리소스/시간은?
    • 프로덕트 방향성 결정
      • 우리가 해결하고 싶은 &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해결 방법은? (대략적인 How to)
      • 이를 통해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성과는? (매출? 유저? 투자? etc.)
    • 문제 정의 제대로!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겪는 문제인가?
      • 얼마나 자주 경험하는 문제인가?
      • 문제 해결로 인한 유저 이득이 얼마나 큰가?
    • 프로덕트 구축/론칭
      • MVP 정의
        • 프로덕트 론칭 시점에, 우리 프로덕트가 시장에서 의미를 가지기 위해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핵심 기능은?
        • 세상에 없었던 제품이라면? 구동이 되는 최소한의 기능
        • 이미 세상에 많은 제품이라면? 최소한의 차별화된 feature (물론 일단 조용한 출시 후, 고도화할 수도 있음)
        • 우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최소한의 feature가 필요
      • 프로덕트 구축 & 론칭
        • 프로덕트 지향점과 MVP를 기준으로, 진행과정 중 나오는 수많은 이슈에 대해 빠르게 의사결정, Do & Don’t 결정
        • 내 아이디어에 집착하지 않고, “큰” 상황의 변동에 따라 Pivot 할 수 있어야 함 (작은 인풋에는 흔들리지 않고 추진할 수 있어야 함)
        • 디테일까지 파헤치기 (“처음”이 가장 “혁신”적일 수 있을 때)
        • 론칭이 끝이 아니다! “론칭을 목표”로 하지 않기 위해 긴 호흡의 프로덕트 구축 사이클 관리 필요

3) 프로덕트 개선 단계에서 PO가 일하는 방법

  • 목표 설정 시 고려 사항
    • 프로덕트의 장기적 방향성 설정
      • 이 프로덕트의 목표는 무엇인가?
      • 우리가 바라보아야 할 핵심 지표(KPI)는 무엇인가?
    • 중단기 Initiative 설정
      • KPI 달성을 방해하는 주요 요소들이 무엇인가? 왜 발생하는가? [가설 수립]
      • 이 방해 요소를 어떻게 없애거나 개선할 수 있는가? (다른 플랫폼은 어떻게 하고 있나?)
  • 우선순위 설정 시 고려사항
    • 수많은 Backlog 중 이번에 집중해야 할 업무는 무엇인가?
      • 이 중 가장 Impact가 큰 업무는 무엇인가? 또는 빠르게 해결 가능한 업무는 무엇인가? (Low hanging fruit이 있는가?)
      • 시급도가 높은 업무가 있는가? (중요도나 효과는 다소 낮다 하더라도, 지금 해야 의미 있는 과제?)
      • 중요도가 높지만, 효과를 측정하기 어려운 과제가 있는가? 이 경우 과제를 더 세분화할 수 있는가?

4) 우선순위 설정에 좋은 방법

 

반응형